crypto_regulations_kr
금융 당국이 국내 법인의 가상자산 거래를 단계적으로 허용
금융 당국이 국내 법인의 가상자산 거래를 단계적으로 허용하기로 하면서 전통 금융 시장과는 구조적으로 다른 가상자산 시장 특성을 반영한 제도 설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시간 거래 구조, 거래소 간 가격 차이, 유동성 분산 등 특수성으로 인해 대규모 법인 거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별도의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 [법인 크립토 상륙] “코인 수탁도 선별적으로”…금융당국, 커스터디 심사기준 마련 권고
- [법인 크립토 상륙] 가상자산 시장 인력 쟁탈전 가열…‘인재 영입 블랙홀‘ 된 빗썸
- [법인 크립토 상륙] 커스터디 업계 “가상자산 거래소 중심 현행 법, 업종별 특성 반영해야”
- [법인 크립토 상륙] 커스터디 산업, 손톱 밑 가시 뽑아야…획일적 규제가 성장 막는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규 거래시간이 정해져 있고 거래소가 단일화돼 있는 주식시장과 달리 가상자산 시장은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거래소마다 가격이 상이하다. 이처럼 거래 구조와 운영 환경이 다른 상황에서 동일한 방식의 제도 적용은 오히려 시장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예를 들어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삼성전자 주식은 NH투자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이나 한국투자증권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등 어떤 증권사를 통해 거래하더라도 같은 시점에는 동일한 가격으로 체결된다. 반면 비트코인(BTC)은 같은 시간에도 업비트와 빗썸 등 거래소마다 가격이 다르다.
OTC 인프라 도입 제안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업계는 장외거래(OTC) 인프라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OTC는 대규모 거래를 거래소 밖에서 체결해 시장 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식이다. 해외에서는 코인베이스 프라임, 제미나이, 크라켄 등이 기관용 OTC 서비스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OTC는 국내에서도 한때 일부 업체가 서비스를 시도했지만 규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사업을 중단한 사례가 이어졌다. 업계는 제도 정비가 뒷받침되면 OTC 인프라가 법인 거래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상자산 특성에 맞는 체계 필요
이밖에도 가상자산 특성에 맞는 다양한 체계가 병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통 주식시장에서 블록딜은 보통 정규 거래 시간외에 기관투자자 간 사전에 합의한 가격으로 대량 체결되는 방식이다. 시장 가격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 같은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거래소들도 제도 변화에 맞춰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관계자는 “당국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관련 준비를 진행하고 있으며, 정부가 발표한 로드맵에도 비영리 법인의 가상자산 수령 및 처분과 관련해 최소한의 내부통제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명시돼 있다”며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법인 대상 가상자산 거래 제도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시장 안정성과 거래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거래 체계 마련이 향후 제도 설계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已完成韩文翻译,并以HTML格式返回。请查看并提出任何修改建议。